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삶

담이 결리는 이유와 해결 방법

by 자남 2025. 2. 8.

담-결리는-이유-해결-방법-결릴때
담이 결리는 이유

담이 결릴 때 해결 방법

 

겨울철에 담이 잘 걸리는 이유 

- 갑작스러운 기온변화에 충분히 몸을 풀지 않고 움직이면 근육이 긴장해서 담이 결리기 쉽다. 겨울은 활동량이 줄고 혈액순환이 저하돼서 근육에 부담이 가중되는 계절이기도 하다. 

근육 담

- 근육 기잔이나 과사용 등으로 목, 어깨, 등과 같은 부위에 발생 된다. 짧아진 근육이 늘어나면서 증상이 심해지게 된다. 

- 근육을 눌렀을 때 압통이 심하고 근육과 연결된 부위로 뿌려지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는 게 특징이다. 

 

관절 담 부위

관절 담

- 척추 주변에서 많이 발생하며 과민한 통증이 나타난다.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고 날카로운 통증이 유발된다. 

- 부적절한 자세 등으로 발생하며, 디스크와 같은 신경 증상까지 만들어 낼 수 있다. 

 

담이 결릴 때 해결하는 방법

- 따뜻한 찜질팩이나 목욕, 사우나 등을 통해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이 좋다. 

- 어느 정도 근육이 풀리면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가벼운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하는 것이 좋다. 

- 외출 시 추위에 취약한 목과 어깨를 따뜻하게 감싸 직접적인 노출을 피해야 한다. 

 

관절 담 초기 발생 시 

- 휴식을 취함과 동시에 경추 뼈 주변을 얼음찜질 하는 것이 좋다. 

- 목을 움직일 때 반사적으로 근육을 긴장시키는 데 이때 무리하면 증상을 악화시키고 근육을 경직되게 만든다. 

- 따라서 통증이 생기는 동작을 피하고 5~10분 정도 얼음찜질로 관절 주변 조직의 민감성을 줄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 이후 움직여지는 범위 내에서 고개 회전과 숙이기를 하고 이후 젖혀지는 움직임까지 만든다. 

담에 잘 거리는 사람이 있다?

- 평소 근력이 약하거나 활동량이 적은 사람,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을 포함해 겨울철 수면 시간이나 활동 시간에 급격한 온도변화가 있다면 더 잘 걸릴 수 있다. 

- 또 장시간 나쁜 자세를 유지하거나 척추 및 근골격계 문제가 있어도 담이 자주 발생한다. 

- 목이 불편하다고 자주 꺾고 비튼 다면 발생률을 높이니 조심해야 한다. 

평소 예방 방법

- 규칙적인 운동과 스트레칭으로 근육과 힘줄, 인대 등의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아침에 일어나기 전 가벼운 스트레칭이 도움 되고 목과 허리 포함해서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며 이완되는 환경에서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며칠이 지나도 나아지지 않는다면?

- 보통 2~3일 내로 완화되지만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가까운 병원에서 근이완제를 처방받거나 주사를 받을 수 있다. 

- 도수치료 및 물리치료를 함께 시행하기도 한다. 

- 경추 디스크나 오십견 같은 근골격계 질환이 원인일 수 있어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목에 좋은 스트레칭

상부 승모근 스트레칭

1) 의자에 앉아서 스트레칭할 쪽의 손은 의자 바닥을 잡아 고정하고, 반대 손은 머리를 감싸 잡는다.
2) 머리를 감싼 팔 방향으로 고개를 옆으로 구부리듯 지긋이 당겨준다. 이때 턱은 들리지 않게 한다
3) 시선은 정면을 바라보고 15초 이상 유지 후 천천히 고개를 들어 제자리로 돌아온다
4) 10회 반복한다

견갑거근 스트레칭

1) 스트레칭할 쪽의 팔은 어깨 뒤로 넘겨 고정, 반대 손은 머리를 감싸 잡는다
2) 사선으로 숙이듯 머리를 감싼 팔로 지긋이 당긴다
3) 시선은 겨드랑이 쪽을 향하고 15초 이상 유지 후 천천히 고개를 들어 제자리로 돌아온다
4) 10회 반복한다 

흉쇄유돌근 스트레칭

1) 스트레칭할 쪽 쇄골 아래에 양손을 올려놓고 쇄골을 아래로 당겨 고정한다
2) 목을 쇄골 반대쪽 대각선 방향으로 젖혀, 머리를 살짝 뒤로 넘기고 15초 이상 유지한다
3) 제자리로 돌아온 후 10회 반복한다 

목 관절 회전 운동

1) 가슴을 펴고 앉아 어깨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2) 어깨가 들리지 않도록 상체는 정면을 유지하며 머리만 좌우로 천천히 돌려준다 
3) 3초 유지 후 제자리로 돌아오며 10회 반복한다 

목 관절 신전 운동

1) 수건을 잡은 양손은 코 높이에 놓고 수건을 목 뒤에 걸어준다 
2) 천천히 머리를 뒤로 넘기며 수건은 지긋이 코 방향으로 당겨준다
3) 3초 유지 후 제자리로 돌아오고 10회 반복한다 

 


관련 글: 팔다리 저림의 다양한 원인과 예방

 

팔다리 저림의 다양한 원인과 예방

가장 많이 혹사당하는 손과 발- 손은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이 움직이는 부위다. 손뼈는 좌우 합쳐 54개, 손목뼈는 8개, 엄지손가락 뼈는 3개, 검지부터 새끼까지 손가락뼈는 4개씩 16개이므로 모두 2

turf-jiny-sosostory.tistory.com

 

관련 글: 무릎 통증 원인과 질환 종류

 

무릎 통증 원인과 질환 종류

무릎 통증 원인과 질환 종류- 힘줄은 뼈와 근육을 연결해 관절이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해서 관절에 안정성을 부여하고, 활막은 관절액을 생성해 관절운동을 원활하게 유

turf-jiny-sosostory.tistory.com

 

관련 글: 걷기 운동 과학적 효과 6가지

 

걷기 운동 과학적 효과 6가지

걷기 운동의 과학적 효과- 치매 위험을 낮춰주고 심장병과 암 방병률을 낮춰준다. 당뇨병과 파킨슨병을 예방하고 관절염에 효과가 있으며, 비만을 없애주고 심지어 달래기 어려운 아이의 울음

turf-jiny-sosostor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