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 - 희망 두배 청년 통장
- 저축하는 금액 10만/15만 원 중 선택할 수 있다. 저축기간은 2년, 3년 중 선택. (10만 원씩 2년= 480만 원 +이자 / 15만 원씩 3년 = 1080만 원 + 이자)
가입 조건
- 서울에 거주 중인 만 18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 공고일 기준 근로중이고, 세전 소득이 월 255만 원 이하.
- 부모 및 배우자의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 부모, 형제, 자매, 배우자가 참여했던 적이 있으면 신청 불가
2. 경기 - 청년 노동자 통장
- 2년간 10만원씩 저축하면 매월 14만 2천 원을 더 얹어준다. 2년 뒤 원금 포함 총 580만 원을 받을 수 있다. (100만 원은 지역화폐 + 자기 계발 교육 지원)
가입 조건
- 경기도에 거주중인 만 18세 이상~34세 이하 청년
- 근로유형에 관계없이, 공고일 기준 경기도에서 근로 중일 때
- 가구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1인 기준 194만 원)
- 가입 이후 근로를 유지하지 못한 달에는 지원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3. 인천 - 드림 For 청년 통장
- 36개월 동안 10만 원 저축 시, 인천시에서 640만 원을 지원해 준다. 만기 후 원금 포함 1,000만 원에 이자까지 받을 수 있다.
가입 조건
- 인천에 거주 중인, 만 18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 제조업, 지식서비스산업 기업에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
- 공고일 기준 2년 이상 재직 중이어야 하고, 4대 보험을 납부 중이어야 한다.
- 군 복무 대체근로, 대학 재학/휴학 중인 근로자는 신청할 수 없다.
4. 광주 - 청년 13(일+삶) 통장
- 10개월간 10만 원 저축 시 광주광역시에서 100만 원을 지원해 준다. 원금 포함 200만 원 지급 + 금융, 근로, 생활 역량 강화 교육 지원
가입 조건
- 광주광역시에 거주 중인 만 18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 근로유형에 관계없이 공고일 기준 근로 중일 때
- 본인의 월 소득이 세전 68만 원 ~191만 원 (3개월 평균 급여 기준)
- 다른 시, 도에서 비슷한 사업에 참여했던 사람은 신청할 수 없다.
5. 부산 - 청년 희망 날개 통장
- 36개월 동안 10만 원 저축 시, 부산시에서 매월 10만 원 지원. 만기 후 원금 포함 720만 원에 이자까지 받을 수 있다.
가입 조건
- 부산시에 거주 중인 만 18세 이상~34세 이하 청년
- 근로유형에 관계없이 공고일 기준 근로 중일 때
- 가구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 소득 80% 이하일 때 (1인 기준 155만 원)
- 청년 일자리 사업 근로자, 청년 구직수당을 받은 사람은 참여할 수 없다.
6. 대전 - 청년 희망 통장
- 36개월(3년) 간 월 15만 원 저축 시 대전시에서 매월 15만 원을 지원해 준다. 만기 후 원금 포함 1,080만 원에 이자까지 받을 수 있다.
가입 조건
- 대전광역시에 거주 중인, 만 18세 이상~34세 이하 청년
- 공고일 기준 6개월 이상 대전광역시 내 사업장에서 근로 중일 때
- 또는 창업 후 3년 이내, 연 매출 5천만 원 이하 사업 운영 중일 때
- 가구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90% 미만 (1인 기준 175만 원)
7. 대구 - 청년 희망 적금
- 6개월 동안 월 10만 원 저축 시 대구시에서 매월 30만 원을 지원해 준다. 원금 포함 240만 원 지급.
가입 조건
- 대구시에 거주 중인 만 18세 이상~34세 이하 청년
- 아르바이트, 인턴, 2년 미만 계약직 등 단기 일자리 종사자
- 본인의 월 소득이 세전 50만 원 ~ 191만 원 (3개월 평균 급여 기준)
- 재학생, 고용주와 4촌 이내의 인척 관계에 있는 근로자는 참여할 수 없다.
관련 글: 서울시 '전세보증보험료' 지원 받는 방법
'생활 속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 스팸 완벽 차단 어플 모음 (0) | 2022.04.23 |
---|---|
재테크 공부 시작할 때 꼭 알아야 할 것 (0) | 2022.04.21 |
서울 정비 사업 '신속 통합 기획' 이란? (간단 정리) (0) | 2022.04.13 |
자기 주도적 학습하는 아이들의 공통점 (0) | 2022.04.07 |
2022년 4월부터 바뀌는 정책 (0) | 2022.04.04 |